언어의 의미: 의미론

의미적 직관과 '의미'의 의미

의미란 무엇인가?

 

의미적 직관

1. 문장의 진리치(truth value)에 대한 직관: 참인가 거짓인가? 함의와 모순  → 정보전달과 관련

(ㄱ) 강도가 경관을 살해했다

(ㄴ) 경관이 죽었다: if (ㄱ) == 참: 참 → (ㄱ)과 함의 관계

(ㄷ) 강도가 잡혔다: 판단 불가

(ㄹ) 경관이 살아있다: if (ㄱ) == 참: 거짓 → (ㄱ)과 모순 관계

 

2. 의미의 유사성에 대한 직관: 동의성

- 어휘(동의어), 구문(동일한 의미) → 미묘한 차이는 있으나 진리치의 관점에서는 유사함

ex) 연인 - 애인 / 능동태 - 수동태

 

3. 중의성에 대한 직관

ex) 학생 세 명이 사과 하나를 먹었다 → 각각 하나씩 or 셋이서 하나를(교수의 제1해석)

("각각"을 넣으면 명확해짐)

ex) John went to the bank → bank는 은행 혹은 둑

 

4. 전제에 대한 직관

ex) The present king of France is bald. → 프랑스는 현재 왕정이 아님, 전제가 거짓

 

언어가 가지는 의미는 직관을 발동해서 파악한다

 

기호와 의미

소쉬르: 기표 + 기의 = 기호

 

퍼스(Perice)

- 상징(Symbol): "Cat" → 언어, 자의적

- 도상(icon): {고양이 그림} → 연상됨

- 지표(index): {눈위의 고양이 발자국} → 인과관계, 상징이나 도상보다 고차원 

 

 

문법 모형 속의 의미론

조합성의 원리(compositionality)

: 문장 구조와 의미의 연결 관계는 조합성의 원리에서 시작

- 언어 표현 전체의 의미는 그것을 (1)구성하는 부분들의 의미와 (2)부분들의 결합 방식에 의해 결정됨

- 구표지(phrase marker)를 더해 문장의 구성성분의 품사, 성분 등을 나타냄

(a) John likes Bill

(b) John hates Bill

(c) Bill likes John

→ (a)와 (b)는 동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의미: (1)구성 부분의 의미 차이

→ (a)와 (c)는 부분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의미: (2) 부분들의 결합 방식 차이

 

의미와 사전적 정의

의미 meaning와 사전적 정의 definition은 다름

- 사전적 정의는 순환적이다 → 문제점

얼굴 [명] 눈, 코, 입이 있는 머리의 앞면
머리 [명]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 눈, 코, 입 따위가 있는 얼굴을 포함하여 머리털이 있는 부분

→ 머리와 얼굴이 순환적

* 형식의미론: 언어로 단어의 의미를 기술하지 않고 메타언어로 기술함(참고만 할 것)

 

- 사전적 정의는 맥락 context를 고려하지 않음

ex) 너 잘났어 정말

: 글자 그대로의 의미와 상황의 의미를 구별하여 다루는 예시 → 화용론

 

의미론과 화용론

: 화용론은 context 고려

발화, 문장, 명제

사람 A: 그 아이가 머리가 좋다

사람 B: 그 아이가 머리가 좋다

- 두 개는 서로 다른 발화

- 두 개는 같은 문장

- '그 아이'가 같은 아이를 가리키면 하나의 명제, 다른 아이를 가리키면 두 개의 명제

 

의미론과 화용론의 구별(C. Morris)

- 통사론: 기호들 사이에서 형식적 관계(문법)를 다룸

- 의미론: 기호와 대상 사물 사이의 관계를 다룸

- 화용론: 기호와 그것의 사용자와의 관계(맥락)를 다룸

 

현대 의미 이론: 지시적 referential 관점과 표상적 representational 관점

 

지시

지시와 지시물

지시 referring란 말로써 세상의 사물을 골라내는 것 혹은 확인하는 것(언어로써 대상을 연결)

- 고유명사: 이름

- 대명사: 문장 안에서, 대화 안에서 가리키는 역할

- 한정 기술 definite description: 설명하는 역할 / ex) 그 사람, 내가 어제 만난 소년들

 

비지시적 표현

ex) 그런데, 아주, 많은, -에서, -어요

→ 형식 논리학으로 해결

 

고유명사

고유명사: 실제적 또는 비실제적 대상의 이름

 

고유명사와 지시물의 연결

1. 기술이론 description theory

- 고유명사란 지시물에 대한 지식, 기술표시하기 위한 표지(수단)

ex) RM = {BTS, 가수, 래퍼, 작곡가, 작사가, 미술애호가, ...} → 'RM'이라는 고유명사를 쓰는 순간 집합의 내용들을 담는 것

but (1)위의 기술들에 해당하는 다른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더 많은 기술을 알면 보완)

      (2) 위의 기술 중 일부만 알아도 RM 지칭 가능

 

2. 인과 이론 causal theory

:  이름은 어떤 시점에 사물과 연결되어 그 연결이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계승되는데, 이 때 연결을 하는 권위자(연결을 하는 요소)가 있다

ex) 작명, 보석 판별사

 

고유명사는 지시물과의 연결이 견고하고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고정 지시어 rigid designator 임

반례) 한국 대통령: 고유명사 + 지칭명사

→ "지금"을 넣으면 고정됨, 시점이나 장소와 같은 물리적 개념을 추가하면 고정됨

 

지시적 기능을 갖는 일반명사 명사구

지시적 명사구 ex) 그 사람, 저 물건, 그 일, the man, this book
비지시적 명사구 ex) 대부분의 사람들, 몇몇이, no country(for old man)
한정적 definite 명사구 지시적, 청자와 사전 공유 ex) 그 소년, the boy, he
비한정적 명사구 지시적?(논란의 여지, 화자: 지시적, 청자: 비지시적) 청자에게 새로운 정보 ex) 어떤 소년, a boy
특정적 specific 명사구 ex) 나는 어제 재미있는 영화를 보았어(특정 시점과 장소)
비특정적 명사구 ex) 나는 영화를 보면 늘 기분이 좋아져
행위나 사건은 명사구나 동사구로 지시할 수 있다

: 대상 뿐 아니라 행위나 사건도 지시 가능

ex) guide - guidance, rain - rain, 달리다 - 달리기

 

뜻 sense 과 지시 reference

(ㄱ) 1979년 박정희가 암살당했다

(ㄴ) 1979년 한국 대통령이 암살당했다

(ㄷ) 1979년 한국의 군 통수권자가 암살당했다

같은 지시, 다른 세 가지의 의미

 

1.

(a) Ancient people did not know that the morning star is the evening star. (T)

(b) Ancient people did not know that the morning star is the morning star. (F)

 

2.

(a) The morning star is far from the earth

(b) The evening star is far from the earth

대체를 해도 진리값을 유지, 물리적 실체, 진리판별에 객관적

 

3.

(a) John thinks that Mary likes the morning star.

(b) John thinks that Mary likes the evening star.

대체를 하면 진리값 유지 안 됨, 느낌/정서/판단은 주관적이므로 T/F 바뀔 수 있음

 

사건 event 과 의미역 semantic role

부사를 가진 문장의 논리적 함의관계가 사건을 가정함으로써 잘 설명됨

(x) A가 B를 집에서 막대기로 때렸다

=> (p) A가 B를 때렸다

=> (q) A가 B를 집에서 때렸다

=> (r) A가 B를 막대기로 때렸다

→  p & q & r =>(함유) p, q, or r

                     => p & q, or q & r, p & r, p & q & r

사건이 존재하는 경우 논항은 사건에서의 역할, 즉 의미역을 갖는다

(a) John hit Tom: John=행위자(agent) / Tom=피행위자(patient)

(b) John likes Tom: John=경험자(experiencer) / Tom=대상(theme)

→ hit은 사건, likes은 사건이 아님

 

심적 표상

개념 concept

Cognitive semsntics(인지의미론)

: 화자가 가지는 세상에 대한 심적 표상 mental representation과의 간접적 연결을 통해 의미 전달

- 심적표상은 시각적 이미지와 같음

- '자유', '정의' 등은 시각적 이미지가 사람마다 달라서 소통에 어려움 있음

→ 시각적 이미지가 아니라 개념 concept로 파악

기호와 개념은 마음 속에서 연결되거나 상호작용을 한다 -Ogden & Richards-

 

- 언어습득에서 개념화는 대상의 속성의 집합을 확대하는 과정

- 어떤 단어의 개념그 단어를 적용할 수 있는 범주라고 생각

- 필요 충분 조건: abt '강아지' ={다리 넷, 털, 멍멍, 꼬리를 흔든다}

→ 모두 해당하면 '강아지'의 범주에 속하는가?

 

- 원형이론 prototype theory: 필요 충분 조건의 문제를 해결하는 이론으로 제안됨

 

 

의미 관계

- 어휘화된 개념의 의미망 semantic network

- 상위어와 하위어: 계층 구조의 이행적 관계(aRb ^ bRc → aRc)

- 하위개념은 상위개념의 특성을 모두 이어받기에 mental lexicon에서는 경제적으로 정보 저장

- 개념들 사이에 부분 관계가 가능(물리적으로도) 

- 동의관계는 유의어 synonum으로 표현, 반의관계는 반위어로 표현

- 반의어는 개념의 반대성보다는 단어의 반대성으로 표현(어휘 자체의 반대성)

ex) 아빠 - 엄마 (o) / 아빠 - 모친 (x)

- 이분법적 반의어와 정도차이 반의어

ex) 갔다 - 왔다 / 크다 - 작다

 

언어 상대 주의

Sapir - Whorf 가설

: 언어의 의미를 심적 표상으로 본다는 견해의 극단적 예

ex) 에스키모어의 '눈' 표현, Hopi어의 '시간' 표현 부재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

색채어의 언어별 차이

- 색채어 수가 적다고 그 사람들이 색을 잘 구별 못하는 것은 아님 (언어에 흑/백만 있는 부족도 구분 가능)

- 색채어의 함축 관계

특정 색채어가 있으면 그 언어는 해당 색채어의 왼쪽은 모두 포함(같은 그룹/오른쪽은 불확실)

 

공간이동 표현 습득

- 한국어는 '끼다'와 '넣다'가 있고 영어는 'put in' 하나만 있음

- 양국의 아동이 관련 표현 습득 후 생후 30개월된 한국아동들만 두 상황 구별

 

언어의 개념화가 인간의 사물에 대한 인식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 듯 하지만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