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업관리

  • 단순한 작업 측정보다 작업 설계(Work Design)을 지향
  • 국가, 문화간 차이의 영향도 있음

작업관리

  • 생산과정에 필요한 작업자, 기계, 재료, 작업방법, 작업환경 등 제반 작업조건을 조사 분석하고, 비능률 요소는 제거 혹은 감소, 능률 요소는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최적의 작업 조건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개념과 기법
  • 동작 연구(Motion Study)와 시간 연구(Time Study)로 구성
  • 동작 연구는 최적의 작업 방법을 개발하여 작업표준(Standard Practice)을 확립
  • 시간 연구는 작업 수행시간을 측정하여 표준시간(Standard Time)을 결정

동작 / 시간연구 순서

1 동작/방법연구 수행
2 작업공정 및 절차의 표준화
3 시간연구 수행
4 표준시간 설정
5 변경된 조건 평가, 다시 1로 반복

프레드릭 테일러

  • 시간연구의 창시자 또는 산업공학의 아버지
  • 일(Work)를 과학(Science)으로 다룸
  • 1898년 철강회사에서 석탄, 코크스, 철광석의 적정 삽 크기를 연구하여 삽질작업을 개선
  • 태업과 임금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적 관리법(테일러리즘, 또는 테일러시스템)을 개발
  • :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표준 작업량을 설정하고 새로운 작업관리 방법을 제창
  • 작업자를 기계의 부속물로 취급한다는 비난을 받기도 함

프랭크 길브레스

  • 동작연구의 효시자, 최선의 작업방법을 찾는 연구는 인간공학의 기반이 됨
  • 벽돌 견습공으로 벽돌 쌓기 작업의 관찰로 최선의 작업방법 도출이 동작연구의 출발
  • 생산성과 안정성은 반대개념이 아니라 작업 개선을 통해 동시 향상 가능

릴리언 길브레스

  • 남편의 연구가 작업의 비인간화를 지양하도록 곁에서 도와줌
  • 공학의 영부인이라 불림

작업관리 범위

  • 한 공정에는 여러 작업이 있고, 한 작업은 여러 동작으로 구성
  • 최적의 작업방법을 개발하는 동작연구에서부터 이를 표준화하는 과정, 표준 시간 설정을 위한 시간연구와 작업자 훈련, 임음관리까지 작업에 관련된 모든 과정 포함
  • 공정분석 → 작업분석 → 동작분석: 으로 갈 수록 더 자세한 분석

2. 공정분석

공정구성

  • 제품은 공정의 결과물
  • 공정은 몇 개의 단위작업으로 구성
  • 단위작업은 더 작은 요소작업의 모임
  • 요소작업은 다시 동작의 가장 작은 단위인 서어블릭으로 세분
  • 산업현장에서는 단위작업, 요소작업을 혼용, 요소작업요소동작, 동작요소혼용하기도 함
  • 공정분석공정을, 작업분석단위작업과 요소작업을, 동작분석서어블릭을 다룸
  • → 분석도구에 따라 대상의 범위가 달라짐
  • [라인 - 공정 - 단위작업 - 요소작업 - 서어블릭]으로 구성

자동차 공장 브라질 Engine Sub라인 ES-1L 동영상

  • 작업자 기준으로 공정, 부품 기준으로 단위작업 설정
  • 공정 구성의 기준은 일관된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중요

공정도(Process Chart)

  • 공정내에서 단일 작업물에 대해 발생하는 작업내용, 작업순서, 물자흐름 등을 표준화된 기호로 기록하는 방법
  • 작업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사용
  • 미국 기계공학화(ASME)에서 5개의 기호로 표준화
작업 Operation 대상물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나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으로, 기계나 작업장에서 일어나는 주요 단계, 무언가 변화가 있으면 대부분 작업 ex) 못 박기, 부품 분해, 정보를 주고 받음, 계획수립, 토크렌치로 토크 확인
운반 Transportation 대상물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작업, 이러한 이동이 작업이나 검사의 한 부분일 경우는 제외함 ex) 운반차로 물자 운반, 인력으로 물자 운반
검사 Inspection 작업 대상물을 조사하거나 품질이나 수량을 확인하는 작업 ex) 제품의 수량이나 품질 확인, 인쇄물 정보 확인, 보일러 게이지 읽기
D 정체 Delay 계획된 다음 작업을 즉각 수행할 수 없어서 대기하는 경우, 불가피한 경우(=대기) ex) 엘리베이터 기다리기, 다음 가공을 위해 바닥에 놓여 있는 물자
저장 Storage 작업 대상물을 움직이게 할 권한이 있는 사람이 다음 작업 지시를 할 때까지 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보통 라인의 처음이나 끝에서 발생 ex) 저장되어 있는 원재료, 창고에 있는 완성품, 굳을 때까지 기다리는 본드

우리나라의 공정도

  • 우리나라 산업표준 KS A 3002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
  • 운반은 작은 동그라미로도 표시함(작은 동그라미 or 화살표)
  • 검사를 수량검사(사각형)와 품질검사(마름모)로 구분
  • 두가지 활동이 같은 장소에서 일어나거나 하나의 활동처럼 동시에 발생할 경우에는 두 개의 기호를 합하여 표현
작업을 주로 하면서 수량검사도 진행
수량검사를 주로 하면서 품질검사도 진행
품질검사를 주로 하면서 수량검사도 진행
작업을 주로 하면서 운반도 진행

공정도 과제

  • Bottle neck 공정(병목공정)의 소요시간이 해당 부품(Engine) 1개가 생산되는 시간임
  • 전체 공정 소요 시간에는 +alpha가 있음
  • : 정체, 컨베이어벨트 이동시간 등
  • 종류: 작업자는 사람 중심, 자재는 컨베이어벨트 등도 고려, 기계는 설비만 측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