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특성 이론

허쯔버그 2요인 이론

등장배경

Taylor(1911)의 과학적 관리법에 대한 반발

- 목적은 성과(효율성)에 초점

- 이를 위해 3S (simplification, standardization, specification)

- 개인차를 최소화 → 사람들이 지루해하고 업무상의 loading의 줄어듦

- Productivity Restriction: 더 열심히 해서 성과를 낼 수 있음에도 그렇게하지 않음

→ 이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이론이 2요인 이론과 직무 특성이론

 

2요인 이론(Herzberg)

- 직장에서 일을 하는데 있어 사람들은 동물적인 욕구 충족과 상위수준의 욕구 충족을 위함

- 직무상에는 동물적인 욕구 충족과 관련된 요소와 상위수준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과 관련된 요소가 다르게 존재함

- 과학적 관리법에서 동기부여 저해요소인 job loading이 줄어드는 부분을 변화시키려는 노력

(일에서 motivator를 자극함으로써)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을 유발하는 결정요소가 서로 다르다
기존의 관점 직무만족과 불만족을 일으키는 요소는 동일, 충족여부에 따라 만족과 불만족 결정
허즈버그 관점 만족도의 반대는 만족도 0, 불만족의 반대는 불만족 0, 서로 다른 지표

 조직 구성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

직무와 관련된 만족 수준이 매우 높거나 불만족스러운 경우에 각각 어떤 요인 때문에 이렇습니까?
위생요인(불만족) 급여, 감시감독, 정책과 행정, 인간관계, 작업환경, 개인생활, 직위와 직장 안정성 직무 외적인 요소
동기요인(만족) 도전성, 성취감, 직무 자체의 흥미, 칭찬과 인정, 책임감, 발전성 직무 관련 요소

 

직무의 요소에는 충분히 제공되면 조직 구성원들에게 직무만족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와

제공되지 않으면 직무불만족을 일으키는 요소가 독립적으로 존재

 

동기요인: 직무에 만족하고 일에 대한 동기부여를 해주는 요소(상위욕구)

→ 일 자체와 관련된 요소

→ 매슬로우의 애정(사회적), 존중 및 자기실현 욕구

위생요인: 결핍되어지면 불만족을 유발하고 동기부여를 저해하는 요소(동물적 욕구)

→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요소

→ 매슬로우의 생리적 및 안전욕구

조직에의 적용

Job Enrichment(직무 충실화)

- 직무 상에서 책임 및 의사결정 재량권을 증가시켜 직무 만족을 증가시키는 직무설계 방법

- 이러한 책임 및 의사결정 증가는 일에 대한 의미감 및 개인의 성장욕구를 자극하기 위한 목적

 

- 중요 요소는 Job Loading과 관련된 것

- 기본적인 생각: 현재 하고있는 불만족한 일에 대해 변화를 주면 만족도가 증가할거야

- 이에 대해 나온 것이 Job Enlargement와 Job Enrichment

 

- Job Enlargement: Horizontal Loading

- Job Enrichment: Vertical Loading

- 두가지 방법 모두 직무에 변화를 주어 사람들을 동기부여 시키자는 취지

 

차이

Job Enlargement: 같은 위계에 있는 직무를 구성하는 방식

Job Enrichment: 상위직책의 직무의 일부를 자신의 임무로 구성하는 방식

Job Enlargement를 가지고는 동기부여 시키기 어렵다, Job Enrichment만이 동기부여 시킬 수 있다
- Herzberg -

 

Job Enlargement가 문제인 사례

- 생산 목표만 증가: 생산량을 두배로 도전적 목표 제시

- 무의미한 일만 추가: 일상적 사무 업무에 다른 일상적 업무 추가

- 무의미한 직무 순환: 유리 접시를 닦다가 실버 웨어를 닦는 업무로 변경

Job Enrichment를 하려면

 

Herzberg가 자신의 이론의 타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연구

연구 참가자: 대형 증권사의 주주 관리자들

연구 목적: 동기요소에 대한 변화가 동기부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집단1: 통제 집단(아무 처치도 없이 그냥 하던 대로 일을 함)

집단2: 실험 집단(업무상에서 앞에서 제시한 7가지 원리를 적용시킴)

- 동기요인에 대한 변화만 줌(위생요인은 모두 같게 고정)

 

성과와의 관련성: 처음에는 새로운 업무에 적응하느라 성과 부진, 적응 후에는 성과 급속 향상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직무확충을 한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상당히 높음

 

직무특성 이론

직무확충 모형의 또 다른 설명: 직무의 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 결과물에 근거

직무의 핵심차원을 이루는 특성 → 사람들의 심리상태에 영향 → 개인이나 직무 상에서 다른 결

 

 

직무핵심 차원 특성

- 기술다양성

: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기술 종류의 다양성

: 기술다양성이 높으면 직무의 폭이 넓어짐

ex) 항공사 스튜어디스 > 타이어 교체직원

 

- 과업 정체성

: 직무의 내용이 제품이나 서비스 전체를 완성시키도록 되어있는지 혹은 일부만 맡도록 되어있는지 나타냄

ex) 편의점 정규직 근로자 > 편의점 비정규직 근로자

 

- 과업 중요성

: 직무가 조직 내외의 다른 사람들의 삶과 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정도

ex) 비행기 파일럿 > 공항 티케팅 직원

 

욕구충족에 초점을 둔 관점

- 자율성

: 맡은 직무에 대해서 직무 수행자가 일정과 작업방식을 자유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정도

ex) 컨설턴트 > 자동차 조립 근로자

 

- 피드백

: 직무수행과정에서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정도

ex)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피겨 스케이팅 선수

 

인간이 가진 욕구

- 조직 구성원을 동기부여 시키기 위해서는 하고 있는 일(직무)이 가진 특성들이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함을 제시

- 사람들의 욕구는 상위욕구 추구

1) 직무를 통해 의미감 경험

2)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책임감 경험

3) 자신의 노력에 대한 피드백

 

 

동기부여 잠재력 점수: 동기부여가 점수화 될 수 있음

실제 특정 직무가 사람들을 얼마나 동기부여 시킬 수 있을지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점수

(JDS: Job Diagnostic Survey)

: (기술의 다양성 + 과제정체성 + 과제중요성)/3 * 자율성 * 과제피드백

공식에서 중요한 요소는 자율성과 피드백

 

성장욕구 강도: Growth Need Strength: GNS

- 상위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욕구

- 조절변수로 작용

- 직무가 가진 좋은 특성이 가지는 긍정적 효과는 조직 구성원이 성장과 발전에 대해 높은 욕구를 가질 때 더 큰 효과

 

직무설계에 대한 동기에 대해 고려할 사항

- 직무설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심리학(인간) 외에 고려해야할 사항 존재

- 심리학에서는 주로 인간 중심으로 인간의 인간다움과 관련된 요소를 강조

ex) 직무만족, 동기부여 등

 

직무설계와 관련해 크게 4가지 접근법: 각각 강약점이 있어 직무설계시 종합적 고려 필요

1) 기계적 접근

2) 동기적 접근

3) 생물할적 접근

4) 지각/운동적 접근

 

 

1. 기계적 접근: Mechanistic Approach

→ 효율성 강조(과학적 관리법)

: 기계는 기본적으로 인간을 수동적 존재로 취급

: 핵심은 많은 생산량

: 인간은 개인차가 커 표준화 및 직무 훈련이 필요

: 훈련시간은 길면 안됨, 일을 분업하여 짧게 훈련시키고 현장에 투입

→ 가성비 상승, 효율성 증가

 

2. 동기적 입장: Motivational Approach

- 앞에서 설명한 조직 심리학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Job Enrichment, Job Enlargement)

- 직무 특성이론의 요소들

 

3. 생물학적 접근: Biological Approach(인체공학)

- minimize physical cost and biological risk of work

 

4. 지각/운동 입장: Perceptual Motor Approach

- 불량율 (실수하지 않는 것)을 강조

 

Trade - Off

→ 정신적 부담이 핵심

- 정신적 부담이 너무 작아도 사람에게는 불만이 생김. 하지만 조직에게는 유리

- 정신적 부담이 다소 존재하면 사람들은 만족. 하지만 조직에게는 불리한 측면

- 조직의 Needs와 사람의 Needs의 차이

 

조직: 효율성, error free, 빠른 현장 투입

사람: 만족하기를 원함, 도전을 하려함, 뭔가를 배우려함(성장 욕구 가짐)

 

 

 

+ Recent posts